이는 다음에 대한 설명입니다.이 질문그리고해당 MWE를 사용합니다.. MWE원본,원본 출판사etc 필드는 아직 완전히 채워지지 않았습니다.
@article{Ka91,
origtitle = {투자은행이 IPO의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origpublisher = {재무관리연구}
title = {An Empirical Study on ...},
publisher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origlanguage = {Korean},
}
이제 참고문헌을 영어 섹션과 한국어 섹션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제 영어 성경에 있는 영어 텍스트를, 한국어 성경에 있는 한국어 텍스트를 인쇄하고 싶습니다. (사진의 항목 1과 2). 세 번째 가능성은 항목 3에 표시된 결합된 참고문헌입니다. 이는 항목 3의 기사에서 복사되었습니다.금융 연구의 아시아 검토34페이지 정도.
더 간단하다면 "Vol.", "No."를 현지화하지 않고도 할 수 있습니다. 등.
Moewe의 요청에 따라 보다 포괄적인 한국어 MWE를 추가하도록 편집합니다. 텍스트는 다음에서 가져왔습니다.위키피디아xelatex로 컴파일해야 하며 pdflatex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documentclass{report}
\usepackage[utf8]{inputenc}
\usepackage[a4paper,width=150mm,top=25mm,bottom=20mm,bindingoffset=10mm]{geometry}
\usepackage{multirow}
\usepackage{libertine}
\setmainfont{Linux Libertine O}
\usepackage{CJKutf8}
\usepackage{xeCJK}
\setCJKmainfont[Mapping=Jamo]{UnGungseo.ttf}
\setCJKsansfont{UnGungseo.ttf}
\setCJKmonofont{gulim.ttf}
\begin{document}
\section*{Korean Mixed Script}
Korean mixed script, known in Korean as hanja honyong (Korean: 한자혼용; Hanja: 漢字混用), Hanja-seokkeosseugi (漢字섞어쓰기, 한자섞어쓰기), 'Chinese character mixed usage,' or gukhanmun honyong (국한문혼용; 國漢文混用), 'national Sino-Korean mixed usage,' is a form of writing the Korean language that uses a mixture of the Korean alphabet or hangul (한글) and hanja (漢字, 한자), the Korean name for Chinese characters. The distribution on how to write words usually follows that all native Korean words, including grammatical endings, particles and honorific markers are generally written in hangul and never in hanja. Sino-Korean vocabulary or hanja-eo (한자어; 漢字語), either words borrowed from Chinese or created from Sino-Korean roots, were generally always written in hanja although very rare or complex characters were often substituted with hangul. Although the Korean alphabet was introduced and taught to people beginning in 1446, most literature until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as written in literary Chinese known as hanmun (한문; 漢文).
\begin{table}[ht]
\centering
\begin{tabular}{ll}
\hline
Chinese Original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 \hline
1590 translation by Yi Yulgok & 朋이 遠方으로브터 오리이시면 樂흡디 아니랴 \\
Hangul-only transcription of 1590 translation & 붕이 원방으로브터 오리이시면 낙흡디 아니랴 \\
\multirow{3}{*}{Modern Korean gloss} & 벗(동문-혹은 뜻을 같이 하는 이)이 있 \\
& 멀리서부터 사방에서 \\
& \begin{tabular}[c]{@{}l@{}}어 오니 혹은 먼 곳에서 오니 \\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end{tabular} \\
English translation & Having oneself friends arriving from distant regions, \\ & is that not happiness? \\ \hline
\end{tabular}
\end{table}
\end{document}